토크박스

페이스북의 가상통화 리브라는 MIT 연구원의 논문을 도용한 것인가? 논문 저자가 지적

supex332 1 428

매사추세츠공대(MIT)의 연구기관 커넥션 사이언스 연구원이며, 뉴욕대(NYU)의 비상근 교수인 알렉산더 리프턴(Alexander Lipton)이 페이스북의 가상통화 리브라(Libra)는 그를 포함한 공저 논문의 컨셉을 복사하고 있다고 코인데스크가 보도했다.

립튼(Lipton)은 지난 2018년 "디지털 트레이드 코인: 보다 안정된 디지털 통화 (Digital trade coin:towards a more stable digital currency)"라는 공저 논문을 발표했다고 설명하며 “불쾌하진 않지만 리브라(Libra)의 화이트페이퍼(사업계획서) 구상은 샌디 펜틀랜드(Sandy Pentlan)와 토머스 하드조노(Thomas Hardjono)가 지난해 발표한 논문 컨셉이며 말 그대로 도둑맞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리브라(Libra)의 화이트페이퍼(사업계획서)에서는 이 컨셉이 인용된 근거가 전혀 언급되지 않았다"는 것 또한 미국 과학잡지 'U.S. journal Scientific American'에서도 뉴스로 채택된 샌디 펜틀랜드(Sandy Pentlan)의 논문 초기판에서 같은 아이디어의 몇 가지를 제시했다.

립튼(Lipton) 역시 화이트페이퍼(사업계획서)의 구상은 유사한 부분이 있지만 디테일한 부분에서 차이점에 대해서는 그도 인정을 했다. 립튼(Lipton) 포함 3명의 저자는 논문에서 "디지털 트레이드 코인(DTC)"는 자산 담보 지향의 암호 통화로 아마 전통적인 상품에 의해서 뒷받침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자금과 능력에 따라 스폰서는 석유, 금(골드), (철강, 동, 알루미늄 등의) 비금속, 농산물로 뒷받침할 수 있다. 이들 상당량의 보관은 어렵고 비용이 드는 점을 감안할 때 이미 보관된 담보를 사용하는 것은 당연하고 낭비 없이 이익을 창출하는 상품이 된다.

한편 리브라(Libra)의 발행체인 리브라(Libra) 협회 같은 방법은 논문 내용에 없는 것이라고 인정했다. 그는 "우리는 원자재 생산자, 초국가 조직, 또 경우에 따라서는 2~3의 대규모 결제 사업자를 상정했지만, 우버(Uber)와 같은 존재가 없는 것은 분명하다"

이번 논문 이외에도 리브라(Libra)와 콘셉이 비슷하다는 지적이 있다. 이더리움(Ethereum) 관련 미디어"이더리움(Ethereum) 월드 뉴스"는 6월 22일 분산형 대장 기술(DLT)프로젝트 "(Hedera Hashgraph)"을 꼽았다. Hedera Hashgraph는 리브라(Libra) 협회의 거버넌스 모델이 Hedera Hashgraph 운영심의회를 베낀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고 한다.


출처 : 데일리코인뉴스

https://www.dailycoinews.com/dailycoinews/article/read.do?articleNo=5185&lang=kr


1 Comments
노자크 19-07-31 13:30
리브라가 연구원의 논문을 도용을 하다니 믿을수가 없네요.
포토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