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크박스

비트코인 관련 용어 정리

1. 물렸다


자기가 산 가격보다 내렸을 때 하는 말이다.

Ex)아 이더 43에 물렸다.(이더리움이 43만원에 물렸다) 뜻이다.



2.사토시, 알트코인(알트)


비트코인의 개발자이자 비트코인을 0.00000001 단위로 쪼갰을 때 부르는 말. 알트코인들의 값어치를 부를 때 사토시의 단위를 쓴다. 알트코인이란 비트코인, 이더리움,리플 등 시총이 큰 코인들을 제외한 다른 코인들을 총칭하는 말이다. 비트코인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코인을 뜻하기도 한다. 폴로닉스(Poloniex)와 같은 해외 거래소의 경우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을 사야 알트코인을 살 수 있는데, 비트코인 단위를 쪼개서 부르다보니 사토시라는 말이 나오게 되었다. 


Ex)지금 넴 얼마야?  6600사토시네(0.000066 btc)



3.평단


평균 단가를 의미하며 얼마에 샀는지 얼마에 팔았는지에 대한 평균가격을 의미한다.


Ex) 리플 평단 얼마에 들갔어?  나 303에 풀매수(올인매수) 했어 



4. 추매


추격매수를 의미한다. 가격이 더 오를걸 예상하고 뒤늦게 사는 것을 의미한다.


Ex) 이더 어디까지 봄? 추매 들어가도 돼?



5.물타기


본인이 산 가격보다 내릴때 추가자금으로 구매해서 평단을 낮추는 것을 의미한다.


나는 개인적으로 물타기를 선호하진 않는다



6.공매(마진거래)


주식에서는 기업만 가능하다고 들었다. 공매수란 가격이 오를 것을 예상하여 미리 돈을 땡겨서 (레버리지 4배 까지 :코인원기준) 구매를 하고 나중에 청산하는 거래방식이다.


공매도란 이와 반대로 가격이 내릴 것을 예상하여 미리 돈을 땡겨서(역시 레버리지 4배) 팔고 나중에 사는 거래방식이다. 


이 거래들의 장점은 본인이 가진 자산보다 훨씬 크게 얻을 수 있다는 점이지요. 하락장에서도 공매도 거래를 통해 돈을 벌 수 있으니 고수사람들은 차트가 오르나 내리나 돈을 잘 버시더라구요. 하지만 굉장히 위험한다. 일주일이 지나면 강제로 청산되고(그 전에 본인이 원하는 시점에 청산가능) 거기에 만약 공매수를 쳤는데 내려버리거나 공매도를 쳤는데 올라버리면 네배로 나타나는 손실에 무거운 수수료까지 더해져서 엄청난 멘탈 파괴를 느끼실 수 있다. 저도 승률은 80%가 넘지만 공매도는 멘탈의 문제로(잠도 못자고 심장이 뜁니다) 내릴거나 오를걸 알고도 못버티고 청산해서 손해를 본 적이 많다. 주의하셔야 할 부분이 많죠. 가상화폐 거래소 채팅방에서 열심히 오른다 내린다 하시는 사람들 중 마진거래를 하시는 사람들의 희망사항을 채팅으로 녹여내는 모습을 자주 접하실 수 있다. 



7.마진콜, 증거금


위의 마진거래에서는 4배로 땡겨쓰기에 손해도 4배가 납니다. 마진거래에서 손해가 25%가 날 경우 원금만큼 손해가 납니다. 하지만 거래소는 그 이상의 손해가 나도 피해액이 보전이 안되기 때문에 강제 청산이 됩니다. 이것을 마진콜이라 한다. 마진콜이 날 경우 그보다 더 큰 손해가 나는데, 그 이유는 시장가로 청산을 하기 때문에 걸어둔 가격갭이 클 경우 이론상으로는 반토막 손해지만 실제로는 반토막 이상이 나기도 한다. 코인원 거래소의 경우 문자를 보내주는데 문자를 받을때마다 심장이 두근두근 하실 거에요. 



마진콜 위험문자 이다. 수량이 적어서 그런데 만약에 몰빵을 하실경우 멘탈이 엄청 나가실 거에요


증거금이란 마진콜을 당하지 않기 위한 추가 금액을 말한다. 확신이 있으시면 증거금을 넣고 버티는 것도 방법인데, 만약 그렇게 해도 마진콜이 날 경우 증거금도 반토막이 납니다. 



9.볼밴


볼린저밴드의 약자로 후행성 차트분석을 하는 지표 이다. 저도 볼린저밴드를 공부하는 것으로 차트공부를 입문하였는데 추후에 자세히 다뤄보겠다. 



10.골크(골든크로스), 데크(데드크로스)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는 추세가 바뀌는 것을 암시하는 시그널이라 볼 수 있다. 


단기 이동평균선(이평선) : 주황선


장기 이동평균선 : 하늘색 인데 주황선이 위로 갈 경우 골든크로스, 하늘선이 위로갈 경우 데드크로스 이다. 주의하셔야 할 점은 단순히 골크,데크로만 매수 매도 타이밍을 잡으시면 위험하다는 점이다.


그림에서 왼쪽 부분이 데드크로스 오른쪽 부분이 골든크로스이다.



11.김프(김치프리미엄), 역프(역프리미엄), 재정거래


김치프리미엄의 준말로 해외 거래소의 시세보다 비싼 경우 프리미엄이 붙었다라는 표현을 씁니다. 김프가 많이 붙었을때는 30%이상도 붙었었죠. 역프는 반대로 해외거래소보다 시세가 낮은 경우를 말한다.


재정거래는 이러한 시세차익을 노리고 해외에서 코인을 사서 다른 거래소에 팔아 차익을 남기는 것을 말한다.



12.떡상, 떡락


무슨 말인지 다들 아실겁니다. 많이 오르면 떡상 많이 내리면 떡락인데 채팅에서는 각자의 기준이 다르기에 매순간마다 떡상과 떡락이 오갑니다.



13.존버, 우상향


살짝 욕이지만 의미전달을 위해 그대로 적겠다. 존나 버티기(버로우) 이다. 물린 상황에서 멘탈을 다잡기 위해 하는 말이라 볼 수 있다. 혹은 오를 때 더 오를걸 기대하고 하는 말일수도 있다. 우상향은 코인판이 아직 과도기이고 시간이 지나면 코인가격이 계속 오르기에 우상향이라는 말을 쓰는 사람들이 많다. ex) 어짜피 코인판 우상향이니까 존버한다~~



14.리또속, 리도석, 중력코인 안전자산 리플


대망의 리또속이 나왔다. 리플아 또 속냐?의 준말로 리플(XRP)코인이 오를 때가 되었다고 생각했는데(폴로리플가격이 뛰는경우나 호재가 있을때) 안오르고 할 때 사람들이 리또속,리도석(북한식으로 부르는 표현), 중력코인(다시 내려간다) 라는 표현을 쓰게 되었다. 개인적으로 리플은 저에게 수익을 안겨주었기에 안타깝네요 ㅠㅠ 


안전자산 리플이란 말은 최근 코인판이 시총이 줄면서 가격이 우하향을 보이고 있는데, 이와중에도 가격방어를 잘해서 얻은 표현이다.



15.EEA, ETF


Enterprise Ehereum Allience의 줄임말로 이더리움을 후원하는 기업들을 뜻한다. 5월 EEA발표에서 삼성SDS와 도요타가 참여하면서 14만원에서 38만원을 찍는 일이 일어났었죠. 반대로 알리바바와 화웨이가 참여한다는 소문이 돌던 6월의 EEA에서는 소문이 거짓으로 드러난데다 비탈릭(이더리움 개발자)가 중국에 참석하지 않으며 기대감이 빠지면서 폭등 후 폭락을 겪기도 하였다.


ETF(Exchange traded funds)는 상장지수 펀드로 주가지수에 따라 수익률이 결정되는 펀드이다. 한국의 코스피지수를 예로 들 수 있다. 비트코인이 ETF를 두 번 신청하였는데 ETF전에 기대심리로 올랐다가 ETF가 각각 거절당하며 폭락한 사례가 있다.



16. XRP


리플코인의 약자인데 두글자라서 앞에 X를 붙인 것 같다.



17.지정가(maker), 시장가(taker)


지정가란 해당 가격에 도달하지 않을 때 미리 걸어두고 거래가 성사될 때의 수수료이다.


시장가란 현재 거래가 진행되는 가격에 바로 사거나 팔 때의 수수료를 의미한다.



18. 매수벽, 매도벽, 지지선, Cryptowatch


호가창에서 지정가로 걸어둔 매수량이 매수벽, 반대가 매도벽이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두가지가 될 수 있다. 매수벽이 받쳐준다는 것은 그 가격 이하로는 안내린다는 기대심리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선이라고도 부릅니다. 하지만 거래량이 많은 분이 그 벽에 팔아버리면 아래로 쭉쭉 내려가겠죠. 매도벽도 반대이다. 상승세에서 매도벽이 가로막고있을때 이것을 치우거나 거래액 많은 분이 사버리면 위로 치고 올라가겠지요 이것을 추세거래법이라고도 한다. 


이더리움의 호가창이다 그림에서 2000개에 매도가 걸려있는데 저것이 매도벽이라 할 수 있다. 반대로 아래에서는 그나마 320000에 400개가 매수벽(지지선)역할을 한다. 


Cryptowatch란 이러한 거래량과 차트를 볼 수 있는 사이트이다.


cryptowat.ch


위 사이트의 장점은 매수세 매도세와 차트를 좀 더 직관적으로 볼 수 있고, 해당 사이트가 다운되더라도 이곳은 별개의 서버를 운영하여 다운이 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18.폴로닉스(Poloniex), 비트렉스(Bittrex), Bitfinex, Chbtc, Yunbi


폴로닉스는 전세계 가상화폐 거래소 중 최대 거래소이다(미국), 비트렉스도 역시 미국거래소이다. 나는 비트렉스가 직관성이 좋아서 주거래소가 비트렉스이다. Bitfinex는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을 달러의 가치로 가격을 매기는 거래소이다. Chbtc와 Yunbi는 중국 거래소이다.



19. 세력, 따거형님


세력이 누군지는 잘 모르지만(돈많은 형님들) 조직이나 집단일 가능성이 높겠죠. 한껏 끌어올린후 개미들이 뒤늦게 올라타면 재미를 보시고 가는 대형거래자들을 세력이라고 부릅니다. 


그림에서 상단부가 거래량이다. 거래량이 이전과 비교하여 폭팔적으로 늘어나며 가격이 뛰는걸 볼 수 있는데 여기서 세력이 개입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따거형님이란 중국세력을 친근하게 부르는 말이다.



20. 스퀴즈, 횡보(박스권), 펌핑, 조정


스퀴즈란 차트의 변동폭이 좁게 움직이며 쥐어짜는 형상을 의미한다.


횡보(박스권)란 가격 변동폭이 좁게 움직이는 것을 의미하며 스퀴즈와 비슷한다.


펌핑이란 가격이 본격적으로 오르기 전 약간씩 뛰어오르는 현상을 말한다.


조정이란 가격이 너무 오르거나 내릴 때 다시 약간 내리거나 오르는 것을 조정이라고 표현한다.



21.약속의 OO시


채팅에서 많은 사람들의 기대심리가 반영되어 오르기를 희망하며 말하는 것을 의미한다.


ex) 약속의 10시니까 달리자!! 



19. ICO


Innitial Coin Offering의 약자로 신규 비상장 코인에 가상화폐로 투자하면 해당 신규코인을 액면가로 받는 투자 방식을 말한다. ICO는 신중하게 투자하셔야 한다. 단순히 인턴직원을 뽑았다~ 이러고 ICO를 올려놓고 모금을 하는 경우도 다반사이기 때문이다. ICO는 추후에 자세히 다루겠다.



20.하드포크, 소프트포크, 이더리움클래식(ETC)


하드포크란 블록체인을 업그레이드 하면서 원본을 떼어내 독립시키는 것을 말하고 소프트포크는 기존의 것에서 업그레이드를 하는 것을 의미한다.(초보사람들을 위해 쉽게 이정도로만 설명하고 자세히 다루겠다) 


과거 이더리움 해킹사태로 인해 이더리움이 하드포킹을 하였고 이로인해 이더리움 클래식(ETC)가 탄생하였다.



21. 1분봉, 5분봉, 일봉 


차트를 1분 단위로 보는 것을 1분봉 그래프라 한다. 일봉의 경우 하루(1D)가 기준이지요. 1분봉으로 거래를 하시는 사람들은 초단타 거래를 하시는 사람들이고, 일봉단위로 거래를 하시는 사람들은 중장기형 투자자라 할 수 있겠다.



22. 롱포지션, 숏포지션, 데이트레이딩, 스윙, 장투


거래 방식에 따른 차이를 말하는 것을 롱포지션 , 숏포지션이라 한다. 말그대로 길게 보는 것과 짧게 보는 것을 둘 수 있다.


트레이딩 주기로는 데이트레이딩, 스윙, 장투가 있다.


데이트레이딩 : 1일 이내


스윙 : 3일~1달정도


장투 : 3~6개월 이상을 보통 일컫다.



23. 패닉셀, 데드캣


가격이 내리는 것을 보고 추종하여 우르르 던지는 것을 패닉셀이라 한다. 3월에 이더리움이 패닉셀을 겪어서 20000에서 7천원까지 갔었다고 한다. 


데드캣은 패닉셀이 있는 와중에 공매도를 청산하거나 단기반등을 노리고 매수하는 거래자에 의하여 단기반등이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24. 파종


여러가지 알트코인들을 소수단위로 많이 사서 투자하는 방식을 말한다. 주로 해외사이트에서 파종하기가 더 좋다(알트코인이 많기 때문).



25. 이더교(김치이더)


이더리움을 신봉하는 사람들을 뜻한다. 이더리움은 무조건 오른다, 이더리움은 적금이다, 이더리움은 사랑이다, 이더리움을 내리는 것은 믿음이 부족해서이다 등등 우리나라에서 특히 이더리움을 많이 사랑해서 나온 말이다. 강남 아주머니들이 작년말부터 이더리움을 매집했다는 이야기는 벌써 유명하지요.



26. 버거


햄버거. 미국인 투자자들을 일컫는 말이다. 한국과 시간대가 반대기 때문에 한국 기준으로 밤에 많은 시세 변화를 야기한다. 그리고 맨날 던진다.



27. 메로나(양봉)


시세가 오르는 연녹색 상향그래프를 뜻한다. 연녹색 기둥 모양의 양봉 그래프가 마치 메로나를 연상시켜 표현으로 굳어졌다. 오르는 그래프를 양(陽)봉, 내리는 그래프를 음(陰)봉이라고 칭한다.



28. 불기둥(음봉)


시세가 극단적으로 하강하는 적색 하강그래프를 뜻한다. 어원은 폴로닉스의 영어권 투자자들이 fire pillar 라고 감탄사를 터리던 것에서 기원했다고 한다.

0 Comments
포토 제목